환절기는 계절이 바뀌는 시기로 일교차가 크고 대기가 건조해지면서 우리 몸의 면역력이 약해지기 쉬운 때입니다. 이 시기에는 어린이와 청소년 사이에 감기나 독감(인플루엔자)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과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증상이 늘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단체생활을 하는 학생들은 한 명이 걸린 감기가 금세 학교 내에서 퍼질 우려가 있으므로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는 기침 예절, 외출 후 손씻기 습관을 평소에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가을에는 국내에서 독감 환자가 급증하여 보건당국이 경계 수위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2023년 10월 마지막 주 기준으로 초등학생 연령(7~12세) 독감 의사환자 분율이 유행기준의 약 13배(86.9명/1,000명)까지 치솟았고, 청소년(13~18세)도 유행기준의 10배가 넘는 수준(67.5명/1,000명)에 달했습니다. 이는 같은 시기 성인의 독감 환자 분율(30.3명)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독감이 소아·청소년층에 집중 발생했음을 보여줍니다. 방역 전문가들은 지난 3년간 마스크 착용으로 독감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아 면역 형성의 기회가 없었던 아이들이 거리두기 해제 후 처음 맞은 독감 유행기에 대거 감염된 것으로 분석합니다. 다행히 치명률은 낮았지만, 학교 현장에서 결석자가 속출하고 소아병원에 환자가 몰리는 등 혼란이 있었습니다. 보건당국은 어린이와 청소년이라도 유행 시기에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꼭 받을 것과, 발열·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마스크 착용 및 외출 자제를 당부하였습니다.
봄철 환절기에도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꽃가루가 날리고 황사·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서 알레르기 비염이나 천식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환절기에는 코감기를 일으키는 리노바이러스나 고열·기침을 유발하는 아데노바이러스 검출률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가급적 실외활동을 줄이고, 부득이하게 나갈 때는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여 유해 입자와 꽃가루를 걸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을 자주 마셔 기관지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실내 환기를 주 1~2회 짧게 하는 등 생활수칙을 지키면 환절기 호흡기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 면역력 유지를 위해 충분한 영양 섭취와 휴식을 취하는 것을 권장합니다.